[칭짱철로를 가다③] 스러져가는 '장족'의 운명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773회 작성일 09-02-24 12:30본문


꺼얼무에서 라싸로 향해야 하는 우리 일행은 8명. 동행한 타 언론사 간부들이 정부를 통해 기차표를 말해놨다고 하는데, 출발 전날 오전까지 통보된 표는 7장뿐이다. 그나마 5장은 다시 한나절이 걸리는 시닝으로 되돌아가서 타야하는 것이었다.
결국 기자는 배째라를 외치고, 내가 재주껏 라싸로 들어갈 테니 있는 표로 알아서 하라고 전했다. 누구는 '라싸행 기차표 구하기가 후진타오 만나기보다 어렵다'고 했지만, 그렇다고 중국여행 경력 7년이 다 되어가는 기자가 철도를 타겠다는 고집을 꺾고 버스에 의탁해 라싸에 들어갈 수 없다.
열차표 구하기는 역시 현장박치기!
저녁식사를 마치고 기차역을 향했다. 그때 한국에서 온 언론사의 여기자 하나도 동행했다. 저녁 8시가 돼도 해가 떨어지지 않는 기차역에 도착해 매표소로 간다. 그리고 용기있게 외쳐본다.
"라싸 표 있어요?"
"없어."
그럼 그렇지. 그런데 바로 아주머니의 말이 이어진다
"침대표는 있어."
이 아줌마가 정신이 있나. 내가 근 12시간을 앉아갈 체력으로 보였나. 하지만 의외의 말에 감탄이다. 역시 멀리서 이래저래 꽌시(연줄)를 대어서 찾는 것 보다는 역시 현장 박치기가 통한다.
"그래요. 내일 아침 7시 20분에 출발하는 K918 열찬데요."
"아, 있다니까 왜 그래."
"두장도 있어요?"
"그럼. 10장 남짓이나 있다."
"윽…."
혹시나 해서 다른 참가자들에게 전화를 해서 권한다. 시닝까지 한나절을 가서 다시 한나절을 걸려 꺼얼무까지 오는 열차 여정을 하루를 낭비하느니, 하루를 당기자고 제안한다. 거기다 길에 쏟아부을 경비도 만만치 않다. 하지만 그냥 계획대로 가겠다고 한다.
결국 기자와 한국 측 참가자인 정 기자만 다음날 20일 아침 기차로 가기로 표를 산다. 다른 일행은 꼭 하루 늦게 라싸에 들어올 것이다.
중국 서부에서의 아침 추억은 언제나 괴롭다. 8월에 동부인 베이징 등은 오전 5시 반이면 해가 뜨는데 서부는 오전 7시가 넘어야 여명이 돋고, 호텔의 조식도 자연히 오전 7시30분은 되어야 시작한다. 기차시간은 오전 7시 20분이다.
아침을 접고 기차역으로 향했다. 기차역에 도착하자 라싸로 가는 이들로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붐빈다. 조용히 들어보니, 한국인들은 없고 중장년의 일본 단체 여행객들은 더러 있다. 역시 무슨 볼거리가 생기면 그것을 가장 잘 이용하는 일본 여행객들 답다.


이 때문에 열차 상부는 물론이고, 각 자리에 산소공급 홈이 있다. 그러니 과거 이 곳에서 고산반응에 곤란을 겪었던 아저씨가 마음을 놓는 것도 당연하다. 게다가 이 아저씨는 정부가 선전한 대로 기차의 산소만 믿으면 고산반응은 죽어도 없을 것이라는 확실한 믿음을 갖고 있었다.
2년 안에 일본과 전쟁을 한다고?

기차는 쿤룬산을 넘어 탕구라산을 향한다. 밖을 보니 어제 내린 비와 눈으로 세상이 맑다. 이 길은 해발 4500m 정도의 지역으로 비교적 평온하다. 이 길에는 펑훠산4958m, 탕구라산 입구 등도 있지만, 창지앙의 발원지인 투오투어허가 유유히 지난다.
이 물은 금방 통톈허로 바뀌어간다. 다양한 이견은 있지만 인근에서 황허나 난창지앙도 발원했으니 중국의 젖줄인 셈이다. 쿤룬산과 탕구라산 등이 다양한 중국 신화의 모태가 된 것은 이런 연유에서다. 여기서 나오는 물이 없었다면 대륙은 문명을 피우는 데 더 오랜 시간과 공력을 들여야 했을 것이다.
기차는 역시 아름다운 고원호수인 추나후를 지난다. 며칠 후에 들를 하늘호수인 남초도 있지만 티벳의 호수는 정말 신성한 느낌을 준다.
기차길 옆으로는 다양한 민공들의 흔적을 볼 수 있다. 철로는 개통됐지만 사실 칭짱철로는 계속해서 살얼음판을 걷는다. 근 2000km에 달하는 한곳 한곳이 결코 안전할 수 없다. 일단 시닝에서 꺼얼무 구간은 갑자기 늘어난 운행량으로 인해 염호 부근의 지반 침하가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다. 때문에 1984년에 완공된 철로의 전 구간이 보강작업과 재공사로 분주하다.
꺼얼무-라싸 구간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영구 동토층은 물론이고, 일반 철로 구간도 겨울에는 영하 50도까지 떨어진다. 이 경우 레일의 이상 변동이나 갑작스런 파괴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교량 구간도 많은데, 역시 적지 않은 문제를 안고 있다. 콘크리트 교각들은 내부를 콘크리트로 채우지 않고 공명을 두어 온도차를 적응하게 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연구되어 시공됐다.
이 구간 철로의 건설 기간은 4년에 지나지 않는다. 2001년 2월 8일에 결정이 났고 2006년 7월 1일 정식 운행을 했으니 소요시간은 4년밖에 되지 않는다. 세계 모든 기술진이 불가능하다고 한 일을 4년만에 해냈으니 그 안에 허수가 없을 수 없다. 실제로 중국 신화통신은 지난 29일 칭짱철로 추나후 부근에서 설비 고장으로 식당칸이 탈선했다고 밝혔다.
칭짱철로는 올 겨울이 가장 큰 고비이다. 올 겨울을 무사히 넘긴다면 현재 계획중인 상하이, 광저우 뿐만 아니라 중국 주요 거점도시에서 여행을 떠나는 이들로 붐빌 것이다. 문제가 계속해서 발생한다면 중국 정부로서는 더 고된 보완이 필요한 것이다. 다만 지난해부터 시범 운행을 해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 겨울도 무사히 넘길 가능성이 높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