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 본고장에서 샘 솟는 노마드(유목민) 정신 > 알자 테마여행

본문 바로가기

알자 테마여행

알자 테마여행 HOME


교육언론창 공동진행
열하일기 본고장에서 샘 솟는 노마드(유목민) 정신

선생님 테마여행 - 열하일기 본고장에서 샘 솟는 노마드(유목민) 정신
✔ 대상 : 유초중고, 대학 선생님(전·현직)과 가족, 교육단체 활동가
  • ⦁ 행사명 : 선생님 테마여행 - 열하일기 본고장에서 샘 솟는 노마드(유목민) 정신
    ⦁ 일정 : 2025년 7월27일(일) ~ 7월31일(목) 4박5일
    ⦁ 코스 : 인천-베이징-승덕-목란위장-승덕-인천
    ⦁ 참가비 : 179만원(교육언론[창] 기존 또는 신규 후원회원 5만원 할인)
    ⦁ 포함내용 : 왕복항공 및 텍스 유류세, 식사, 차량, 호텔(2인1실),여행자보험(2억원), 가이드/기사 팁
    ⦁ 불포함내용 : 개인경비
  • 열하일기 본고장에서 샘 솟는 노마드(유목민) 정신
  • 열하일기 본고장에서 샘 솟는 노마드(유목민) 정신
  • 열하일기 본고장에서 샘 솟는 노마드(유목민) 정신
  • 열하일기 본고장에서 샘 솟는 노마드(유목민) 정신

본문

2025_theme_v11.jpg

조선 최고의 문장가 연암 박지원, 그의『열하일기(熱河日記)』는 단순한 여행기를 넘어, 조선 후기 사대주의를 넘어서는 시선을 담아낸 명저입니다. 청나라의 문물과 사상을 직시하고, 당시 중국의 발전상을 솔직하고 유쾌하게 그려낸 고전 중의 고전으로 오늘날까지도 인문학과 리더십 강좌에서 널리 읽히는 깊이있는 텍스트입니다.
이번 여행은 연암의 『열하일기』 속 잠행(潛行) 기록을 따라 떠나는 테마기행입니다. 연암이 감탄했던 유리창 거리, 황제의 궁궐 자금성, 베이징 서민의 삶이 깃든 골목 후통, 그리고 그가 청 황제를 알현했던 피서산장까지 책 속 장면들이 눈앞에 생생히 펼쳐집니다.
chungdur2.jpg여정중에는 베이징 교사들과 함께하는 교육 좌담회, 연암이 지나던 길목에서 열리는 현대적 해석 강연, 초원에서의 말타기 체험과 캠프파이어까지, 고전과 현실, 학문과 체험이 어우러지는 다채로운 시간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또 만리장성 가운데 가장 아름답다는 평가를 받는 사마대 장성과 고북수관, 티베트 불교의 숨결이 살아 있는 보타종승지묘와 수미복수지묘등을 둘러보며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중국의 매력을 느껴보실 수 있습니다.
수백 년 전 연암이 경험한 ‘중국’과 오늘 우리가 만나는 ‘중국’ 사이, 그 시간의 간극 속에서 나만의 감상을 더해보세요. 역사와 문화, 교육과 사유가 어우러지는 이 특별한 여행은 교실 밖에서 만나는 살아 있는 인문학 수업이 될 것입니다.


✔ 알자여행의 『열하기행(熱河日記)』이 걸어온 길
⦁ 2004년 4월 오마이뉴스 공동진행 (강사: 고미숙, 열하일기 리라이팅 저자)
관련기사 → 여행후기) 딸 슬비와 함께 다녀온 열하일기
-관련기사 →여행후기) 열하로 가는 고된 여정
-관련기사 →고미숙과 떠나는 열하기행
⦁ 2004년 8월 한겨레문화센터 공동진행 (강사: 김풍기, 수유연구실 열하일기 번역팀장/강원대 교수)
관련기사 → 여행후기) 역사의 성쇠가 묻어난 열하
⦁ 2006년 7월 '즐거운학교' 공동진행
관련기사 → [교사연수] 중국속 우리의 정체성을 찾아
⦁ 2007년 4월 수필 전문 잡지 '에세이21' 공동진행
관련기사 → 여행후기) 열하에서 여행의 가치를 깨닫다

tip_info1.gif
박수밀 교수 : 고전학자. 30년간 연암 박지원의 문학과 사상, 과학, 역사, 문학, 철학을아우르며 연구하고 『연암 박지원의 글 짓는 법』, 『열하일기 첫걸음』, 『연암 산문집』, 『연암 산문의 멋』 등을 출간했다.그밖에 『한자의 쓸모』 등 다수의 저작이 있으며  최근 『연암, 경계에서 보다』를 출간했고 그간 연암의 길을수차례 답사를 안내했다.


2025_theme_v11_multi.jpg


schedule2.gif
01_date.png 02_city.png 03_trans.png 04_time.png 05_itinerary.png
day_01.png
7.27
(일)

인천
북경

OZ331

8:20
9:30
 - 6:00 인천공항 집결 
 - 인천공항 출발
북경공항 3터미널 도착. 현지 참여자 등 합류
 ▶ 연암이 중국의 문물에 놀란 유리창 여행
 ▶ 중국의 심장부 전문-천안문 광장 여행(차창)
 ▶ 황제들의 공간 자금성의 전경을 볼 수 있는 경산공원
 ▶ ‘아리랑의 노래’ 김산, 단재 신채호 등의 흔적이 있는 후통
 ▶ 베이징 교사들과 같이 하는 교육의 미래 좌담회
06_meals.png meals1.gif기내식meals2.gif현지식meals3.gif특식
07_hotel.png 베이징리더우웨이징호텔Metropark Lido Hotel, Beijing(4성)이나동급
day_02.png
7.28
(월)
북경
만리장성
승덕
전용차량 전일  - 조식 후 출발
 ▶ 황제의 명령을 받고, 승덕으로 가는 여정을 따라 출발
 ▶ ‘일야구도하기’ 등을 쓴 밀운 지역(차창)
 ▶ 고북구 장성 표지에서 단체 사진
 ▶ 만리장성의 원형이 가장 잘 살아있는 사마대 만리장성(케이블카)
 - 지역 농민들이 먹는 재료를 바탕으로 만든 농가식 점심
 ▶ 물이 장성이 된 고북수관 여행
승덕 이동 휴식
 ▶ 열하일기의 현대적 가치 재해석(호텔 회의실)
06_meals.png meals1.gif호텔식meals2.gif특식meals3.gif현지식
07_hotel.png 러허푸 호텔 Chengde Rehefu Hotel(4성)이나 동급
day_03.png
7.29
(화)
승덕
목란위장
전용차량 전일  - 조식 후 출발
 ▶ 연암이 중국인과 만나던 관제묘
 ▶ 여름별장이자 연암 일행이 건륭제를 만난 피서산장(궁전부-열하발원지-산장 순환 차-사고전서를 보관한 문진각)
 - 초원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목란위장 이동(200킬로 3시간)
 ▶란하 발원지, 청과 몽골 격전지, 최고의 초원 감상
 ▶목란위장 말타기 체험(1시간)
 - 캠프파이어, 양고기 바비큐 식사
06_meals.png meals1.gif호텔식meals2.gif현지식meals3.gif특식
07_hotel.png 3성급 호텔(당지 최고)
day_04.png
7.30
(수)
목란위장
승덕
전용차량 전일  - 조식 후 출발
 ▶ 초원 산책
 - 승덕으로 이동(200km 3시간)
 ▶ 연암일행이 판첸라마에게 불상을 받은 수미복수지묘
 ▶ 티벳 포탈라궁을 축소한 느낌의 소포탈라궁(보타종승지묘)
- 만찬(샤브샤브)
06_meals.png meals1.gif호텔식meals2.gif현지식meals3.gif특식
07_hotel.png 러허푸 호텔 Chengde Rehefu Hotel(4성)이나 동급
day_05.png
7.31
(목)
승덕
북경

OZ336
16:50
20:05
 - 조식 후 출발. 왕징 이동(218km 3시간)
 - 중국 현대 미술을 시험하는 798 예술단지
 - 주류 등을 살 수 있는 대형마트 방문
공항 이동 탑승 수속
06_meals.png meals1.gif호텔식meals2.gif한식meals3.gif기내식
포함사항 왕복항공 및 텍스 유류세, 식사, 차량, 호텔(2인1실),여행자보험(2억원), 가이드/기사 팁
불포함사항
개인경비
※ 상기 일정은 항공 및 현지 사정으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tip_weekend12.gif
circle_arrow1.gif행사명 : 선생님 테마여행-열하일기 본고장에서 노마드 정신
             - 아침과 저녁, 산책의 자유와시간이 있는 행복한 여행
             - 현직 중국인 교사들과간담회
circle_arrow1.gif일정 : 2025년 7월 27일(일) ~ 7월 31일(목) 4박 5일
circle_arrow1.gif코스 : 인천-베이징-승덕-목란위장-승덕-인천
circle_arrow1.gif참가비 : 179만원 (교육언론[창]기존또는 신규 후원회원 5만원 할인)
circle_arrow1.gif포함내용 : 왕복항공 및 텍스 유류세, 식사, 차량, 호텔(2인1실),여행자보험(2억원), 가이드/기사 팁
circle_arrow1.gif불포함내용 : 개인경비
circle_arrow1.gif참고 : 노쇼핑 (NO SHOPPING), 노팁(NO TIP), 노옵션(NO OPTION)
circle_arrow1.gif참가인원 : 최대 40명
circle_arrow1.gif동행강사 : 박수밀 교수